체제에 순응/기여하며 지위/물적 보상을 받는
정책 변화는 스탈린 체제에 대한 충성이 물질적 보상에 의해 확보되는 새로운 정치, 산업 엘리트들의 출현과 명백히 관련이 있었다. 5개년 계획으로 모든 경제 부문에서 기술자, 관리, 경영자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 268
옛 당원들을 숙청하고 새 당원들을 모집하면서 1930년대에 당의 성격은 점차 변해 갔다. 노장 볼셰비키가 설 자리를 잃은 것과 동시에 행정직으로 승진한 노동자들이 주축이 된 새로운 당 관료층이 일반 산업 인력 사이에서 타나나고 있었다...이 관리 집단은 스탈린 체제를 뒷받침하는 기둥이 되었다.
…
1930년대 초에 나타나기 시작한 엘리트들은 일반적으로 순응적이었고 그들을 창출한 지도부에 복종했다. 평균적으로 고작 7년 동안 교육받은 새 관리들 중에서 독립적으로 정치적 사고를 할 만한 능력이 있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
그들은 스탈린 체제에 완전히 공감했으며, 자신들의 개인적 가치를 체제의 이해와 연결지었고, 모두 위에서 내려오는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경력을 열심히 쌓아 나갔다. - 271
그들의 주요 목표는 자신의 물질적 행복과 사회적 지위의 원천인 소비에트 체제를 지키는 것 - 275
그리하여 체제는 출세 지향적인 사회의 확립과 연결되었고 이 사회의 핵심에는 당과 산업 엘리트, 기술 지식인과 전문직 종사자, 군과 경찰 관리, 열심히 일함으로써 가치를 입증한 충성스러운 산업 노동자들로 이루어진 새로운 중간 계급이 있었다. 새로운 사회 위계제를 규정하는 원리는 국가에 대한 봉사였다.
…
그들의 충성은 더 높은 임금, 소비재에 대한 특별접근권, 직함과 명예로 후한 보상으 받았다. - 278
- 올랜도 파이지스, <속삭이는 사회1>, 교양인 2013
개인에게는 노력이나 경력의 댓가로 얻은 것이
체제의 차원에서 보면 순응하고 기여하고 복종한 댓가로 주어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