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적 통제는 자신이 저지른 유해한 행위 때문에 피해가 유발되었다는 것을 인정할 때 가장 강력하게 작동된다. - 87
- albert bandura, <도덕성의 분리와 비도덕적 행위의 정당화>, 교육과학사, 2018
'사랑.평화.함께 살기 > 생명.인간.마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처와 분노를 부인하는 것 (0) | 2019.11.14 |
---|---|
유해한 행위와 책임 떠넘기기(책임전이) (0) | 2019.11.04 |
사회 문제와 집단효능감 (0) | 2019.11.04 |
유해한 행위와 죄책감, 그리고 도덕성의 분리와 정당화 (0) | 2019.11.04 |
사회적 제재에서 자기 조절로의 발달 (0) | 2019.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