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배.착취.폭력/지배.착취.폭력-여러가지

양반. 사대부

순돌이 아빠^.^ 2013. 11. 6. 22:31

(중국宋나라) 과거는 관료의 자격요건을 지식과 교양에서 찾았고 이후 국가권력의 후원 아래에서 지식과 교양을 갖춘 많은 관료와 또 훨씬 더 많은 관료 지원자들이 생겨나 당시 지배층의 중추를 형성하게 된 것이다.
...
전술한 것처럼 과거의 응시는 어느 정도의 경제적 능력을 가져야 가능하였을테고, 이를 위한 지식과 교양의 습득이 단순한 문맹의 탈피와는 구분되어야 한다. 따라서 필자는 사대부로 성장할 수 있는 서민이 제한된 범위에 머무를 수밖에 없었다고 생각

- 하원수, '송宋대 사대부론', 서울대학교동양사학연구실, <강좌 중국사   -문벌사회와 호한의 세계> 가운데

한국의 양반은 과거 응시자격을 제한하여 정치권력에 접근하는 길을 효과적으로 통제하는 한편, 정부의 상급 계층을 차지하고 토지를 기초로 한 재부를 대규모로 소유하였으며, 통상 유교 교육이 부여하는 문화와 위신을 누림으로써 세습 귀족의 특성을 보여주었다.

...

조선 왕조의 사대부 계급은 국왕이 통치하는 데 필요한 ‘적절한 보조자’ 역할을 맡았다. 미덕과 타고난 지혜를 특별히 부여받은 이들은 유교에서 말하는 이상적 군주를 구현케 하는 유(儒)였다. 유교에서 이 같은 이상은 원래 업적으로 획득된다고 되어 있지만, 한국의 경우 군주 자격은 올바른 지위 집단에서 출생해야만 획득할 수 있었다. 사대부는 특별한 권한과 특권(예를 들어, 부역 면제라든지 왕조 후기에는 병역이나 세금 면제) 그리고 경제적 보상을 누렸다.

....

파벌들 사이의 싸움에 따른 불안정과 기득권이 너무 커지는 사회 환경에서, 소규모 집단이 정치적 지도력을 내세우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으로 사회적 배타성이 나타난 것이다. 무엇보다도 조선 초기 사대부들은 학자일 뿐만 아니라 자신들의 권력을 지속적으로 장악하여 사회정치적 질서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정치가이기도 했다.
사대부들은 정치적․사회적 우위를 획득하기 위하여 다양한 수단을 동원해 사회의 나머지 부류와 자신을 구별하였다. 그들은 신유학을 계속 독점하고 독특한 생활양식의 특징을 강조하는 의례 정강을 기획하였다.

......

사대부들이 유학 교육으로 자신들이 획득하였다고 믿는 도덕적 자질

.....

사대부는 출계와 세습을 조선시대 정치생활과 경제 자원을 독점하는 데 잘 활용했다.

...

사대부는 자신을 제외한 나머지 모두를 가리키는 천賤과 대비하여 귀貴라는 용어를 가지고 스스로를 표현...다른 모든 사회집단의 비순수성과 대비하여 사대부의 순수함을 가리킨다.
...
사회를 이와 같이 귀와 천으로 구분한 것은 사대부들이 모든 관직을 배타적으로 차지한 사실에서 분명히 드러난다. 말하자면 이들은 아래 집단과 역할을 나누어 맡지 않는 것이다.

- 마르티나 도이힐러, <한국의 유교화 과정> 가운데

 

신윤복

지배자이자 지배도구로써의 양반과 사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