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배.착취.폭력/지배.착취.폭력-여러가지

예의와 지배. 계급사회

순돌이 아빠^.^ 2013. 11. 7. 08:16

저우왕조는 통치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예禮와 형刑을 제정하였다. 예는 귀족 내부의 신분 등급제도를 수호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형은 노예와 평민들을 탄압하기 위한 것이었다. 귀족들의 신분 등급제도는 바로 귀족들의 각각 다른 정치적 신분을 나타내기도 하였고 친족들간의 항렬이나 남녀의 구별도 표시하였다. 이러한 등급의 구분에 따라 각각 다른 생활의 규범이 있었는데 그것이 예였던 것이다.

 

- 윤내현, <중국사 1> 가운데

 

 

(중국) 서주(西周)사회는 상대와 마찬가지로 엄격한 신분적 질서에 의하여 지배층·평민·노예의 계급구성을 이루고 있었다. 특히 서주시대에는 예禮와 형벌刑의 차별적인 적용에 입각한 통치술이 나타났다. 다시 말해서 [예기(禮記)] <곡례(曲禮)>에 의하면 “예는 서인 이하에게 내려가지 않으며, 형벌은 대부 이상에게 적용되지 않는다”라고 하여 예와 형의 엄격한 차별성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예는 지배층내의 위계질서를 유지하거나 내분을 방지하는 데에 목적이 있었으며, 형벌은 평민을 비롯한 피지배층의 지배수단이 되었다.

- 이근명, <중국역사 상권> 가운데

 

 

‘황제’는 명칭이자 군주의 호칭이었다. 통치자가 명칭을 두는 근본적인 목적은 군주제도와 왕권에 대한 백성의 보편적인 신앙을 이용하여 그들을 다스리고 속박하기 위함이다.
...
진한秦漢 대국은 6국의 예를 받아들여 군주를 높이고 신하를 낮추는 예의제도를 확립했다. 채옹의 [독단]을 보면 “천자의 정식 호칭은 황제이다. 천자가 자신을 지칭할 때에는 ‘짐’라고 하고, 신하와 백성들이 칭할 때는 ‘폐하’라고 한다...천자의 인장을 ‘새璽’라고 하고 천자가 가는 것을 ‘행幸’이라 하며 천자가 들어가는 것을 ‘어御’라 했다”라고 적혀 있다. 황제의 존엄을 유지하기 위해 매우 복잡한 예의 규범을 정하고 황제의 의식주행에 대해 황권지상이라는 인장을 새겼다. 이는 호칭, 제도, 예의, 법률 등 각 측면에서 황제의 지고무상함과 신성불가침을 드러냈다. 제도와 관념의 상호 작용에서 ‘황제’는 더 이상 단순한 문화적 기호가 아니라 통치 사상과 정치제도를 가장 고도로 표현한 것
...
명분을 중시하는 것은 중국 고대 정치문화에서 보이는 큰 특징이다....고대인들은 신분과 지위가 다르면 그에 따른 대우와 규범도 다르다는 당시의 도리를 인정했다. 호칭과 명칭은 위로는 귀천으로 구별하고 아래로는 다름으로 구별했다...임금이 임금답고 신하가 신하다우며 아버지가 아버지답고 아들이 아들답다는 것은 군주정치의 기반이자 골간이며 핵심이기도 하다.

- 장펀톈, <진시황 평전> 가운데

 

 

조선 초기에 외부의 자극을 활용해 인간을 인간다운 고유함으로 인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폭넓게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인간이 완전해질 수 있다는 이러한 믿음은 인간 본성이 최고조로 실현될 환경을 조성하라고 요구한다. 그 같은 환경은 오로지 인간 본성의 변덕스러움을 고려하는 입법, 다시 말해 유교에 기초를 둔 입법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변환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은 예의에 주어졌다. 예와 의례는 외부 영역에서 인간의 내면 기질에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올바른’ 행위이다. 이를테면 어떻게 해야 예를 다해 제사를 치를 수 있으며, 참여자들 가운데 조화를 창출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인지 판단한다. 그리하여 예는 개인을 넘어서 친족 전체 그리고 더 넓은 의미로는 사회 전체를 지시한다. 예는 인간관계에서 발전한 본질로서 규범적인 사회정치적 질서의 일부를 형성한다. 조선 초기 신유학자들은 예가 사회 질서를 바로잡는 도구로 중요하다는 사실을 분명히 인식하였다.

......

조선 초기 입법가들은, 복고 과정은 국가의 생명선으로서 사회의 구조적 원리인 강기綱紀를 바로세우는 일과 더불어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준은 강기를 신체의 동맥에 비유하면서 이들이 세워져 있지 않으면 국가는 제 기능을 할 수 없다고 경고하였다. 말하자면 강기는 정부의 영令이 순화하는 회로였다.
......

통치는 백성의 거친 본성을 국가 통제에 종속시키고 우주와 조화되도록 만드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교육적이면서 규제를 수반하는 절차였다. 그것은 풍속으로 나타나는 ‘강기’를 활성화함으로써 백성을 새롭게 하는 신민新民의 문제였다. 풍속風俗은 국가의 기본적인 도덕적 에너지를 대표한다.
......

강기는 삼강 육기를 줄인 말이다. 이것은 대개 세 가지 중요한 관계와 여섯 가지의 사회 원칙을 결합한 어구이다. 삼강은 유교 도덕을 기본이 되는 세 가지 줄거리, 곧 군신․부자․부부 사이의 도리로, 군위신강․부위자강․부위부강을 일컫는다. 육기에 따르면 아버지는 아버지로서의 사랑인 선을, 양부는 의를, 가족은 서를, 형제들은 친을, 윗사람은 존을 ,친구는 구를 가지고 있다.

......

풍속이라는 말은 군주와 신하의 상호의존을 보여준다. ‘풍’은 군주의 교화력을 의미하는 반면, ‘속’은 백성의 관습을 의미한다...풍속의 기본 정수는 인간 사회에 근본적이고 변함없는 구조, 다시 말해 군신, 부자, 부부 관계를 제공하는 삼강三綱에 들어있다. 삼강은 군주 사이의 의義, 부자 사이의 친(親), 부부 사이의 구분別, 형제 사이의 출생 서열을 인정하는 서(序), 친구 사이의 신(信)같은 오륜으로 다시 강화된다.


이들 관계는 적절한 의례 행위라고 할 수 있는 예의 관념으로 유지되는데, 이것은 백성이 질서를 잘 지키도록 교화하는 핵심이 된다. 예의 발전을 촉진하는 것이 바로 관혼상제의 사례(四禮)이다. 사례는 고대의 성왕들이 인간의 열정을 통제하고 올바른 정치로 교화하기 위하여 제도화한 것이다.
...
사례는 사회의 행동 규범으로 정부 기능의 질서를 안정시켜주었다. 사회조직은 삼강의 메커니즘으로 결합되어 있다. 아내로 대표되는 내적 영역은 아버지와 아들로 대표되는 외적 영역에 종속되며, 이어 아들과 아버지는 신하로서 군주에 종속된다. 삼강은 인간 사회의 위계질서를 객관화하는 동시에 내외 사이의 상호의존을 강조한다.

...

사회와 우주를 조화롭게 만드는 이상적 도구인 ‘예’는 ‘정政’의 도덕적 개념이다. 예를 잃으면 국가뿐 아니라 사회도 위험에 빠질 수 있으므로, 일반 백성이 예에서 멀어지는 것을 법으로 막을 수만 있다면 예는 충분히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다...법은 백성의 풍속을 규제하는 힘이다.

...

신유학자들은 중국 고대 성왕들이 고안한 모델을 기초로 이상적인 인간 질서를 개념화한 뒤 이데올로기적 외형을 내용으로 채워야 했다. 이데올로기에 구현된 원칙은 일상에서 사회 행위의 지표가 될 실행할 수 있는 계율로 축소되어야 했다...<예기>와 <의례>는 조선 사회에 깊이 있게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이중 가장 현저한 것은 부계 혈연 개념과 조상 숭배, 배우자의 구분과 오복제도였다...이데올로기를 일상생활에서 실천하기 위하여 이를 정의하고 해석한 가장 대표적 저서는 <주자가례>였다.

- 마르티나 도이힐러, <한국의 유교화 과정> 가운데

사도

신하가 임금에게

아내가 남편에게

자식이 부모에게 굽신거리며 비굴하게 굴도록 만드는 예의

 

임금, 남편, 부모와 같은

지배자가 원하는 사회 질서를 세우는 데 필요한 도구로써의 예의

 

인간이 인간을 지배하고

인간이 인간에게 복종케하는 예의

 

인간의 정신까지 개조하여 지배하려고 하려고 함

 

눈빛

자세

걸음걸이

행동 등

하나 하나까지

통제하고 관리하는 예의

 

말로 안되면 법과 힘을 이용해서라도 백성을 순응하게 해야 지배 질서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

 

 

"아이고 00이는 참 예의가 바르네" -----> "아이고 00이는 참 복종을 잘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