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배.착취.폭력/지배.착취.폭력-책과영화

서울대학교동양사학연구실, <강좌 중국사 Ⅴ-중화제국의 동요>

순돌이 아빠^.^ 2014. 5. 22. 20:43


서울대학교동양사학연구실, <강좌 중국사 -중화제국의 동요>, 지식산업사, 1989

 

 

1·2차 중영전쟁

배교열

 

건륭제의 총애를 받아 군기대신을 24년이나 지내며 전횡과 탐오로 이름이 높았던 화신...건륭제 사후 몰수된 그의 가산(家産)의 추정액은 8억 량 이상으로 당시 정부의 세입이 7천만 량임을 고려하면, 그가 군기대신으로 있던 24년의 반에 해당하는 12년 가량의 세입액에 해당한다. 이런 상황에서 상하 관리들의 부패풍조가 어떠했는지는 가령 아무리 청렴결백한 지부知府라도 3년이 지나면 눈과 같이 흰 은이 10만 량이 쌓인다속언에 잘 나타나 있듯이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 14

 

1차 중영전쟁의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가 아편의 유입과 그에 따른 은의 유출이라고 할 때, 그 주도자는 인도와 중국과의 무역을 독점해온 영국동인도회사였다. 인도의 식민지화에 주역을 담당한 동인도회사가 중국의 반식민지화의 길을 닦는 데서도 전위대 역할을 맡은 것이다. - 20

 

회사와 관계없이 일반상인이 동인도회사의 허가를 받아 인도나 동남아시아 연안을 경유하여 광동에 와서 회사와는 완전히 독립된 무역을 하는 지방무역(Country Trade ; 港脚商人은 이의 음역)...지방무역상인들이 아편무역에 종사

...

그들은 인도 봄베이로부터는 면화를 비롯해 백단白檀·호박琥珀·상아·향료 등을 싣고 광동에 오고, 캘커타로부터는 면직물이나 아편을 싣고 동남아 각지에 기항하여 쌀·상아·주석·후추 등을 얻어 광동에서 판매했는데, 대신 중국으로부터는 사탕·생사(生絲견직물·도자기 등을 싣고 인도로 향하였다. 수입품목 중 아편이 압도적 비중을 차지하고 면화가 그 다음이었다. 지방무역은 영국동인도회사와 기능적으로 밀접한 관련을 맺으면서 급속히 성장, 1775~1776년 광동에서의 영국인 무역 총액 40%를 점하기에 이르렀다.

동인도회사의 중국에서의 무역량을 1764년의 경우 유럽에서부터 중국이 수입한 총량의 63.3%, 중국으로부터 수출량의 46,7%를 차지했고, 18세기 말에는 각각 90%70%를 점하고 있었다. 이렇듯 독점무역으로 막대한 이윤을 올리던 동인도회사의 무역은 영국내의 신흥산업자본가 및 지방무역상인의 압력과 자유무역론에 의해 1813년 인도무역의 독점이 폐지되고, 1833년에는(이듬 해부터) 중국무역의 독점권이 폐지되기에 이르렀다. 이때부터 무역의 주도권은 아편무역에 종사해온 지방무역상인에게 넘어갔다.

2백여 년에 걸친 동인도회사의 대중무역에서 한 가지 지적해둬야 할 것은 18세기 후반부터의 아편무역은 직접 거래한 것이 아니고 지방무역상인에 의한 것이었지만, 후술하듯이 회사는 아편의 재배에서부터 제조·판매에 이르기까지 전매권을 가지고 독점하며 감독해 왔다는 점이다. - 20~22

 

상품 판매시장을 중국에서 찾으려는 영국에게 가장 큰 장애는 이른바 광동무역체제였다. 1757(건륭 22) 대외무역이 광주(廣州) 한 항구에 국한되면서

...

중국으로서는 이 폐관정책閉關政策이 자립자족의 경제체제였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지만, 한편으로는 기본적으로 16세기 이래 서방국가들의 연안에서의 잦은 약탈·침략활동에 기인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당연한 자위수단이기도 했다. - 22

 

광동무역체제의 핵심적 내용은 공행公行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공행이란 이들 양행洋行의 상인들이 상호경쟁을 피하기 위해 1720년에 조직된 독점적 성격의 상인길드

...

공행은 우선 수출품으로서 차와 견을, 수입품으로서 면화와 모직물 등을 독점

...

공행은 감독당국을 대리하여 관세를 징수

..

공행의 또 한 가지 의무는 이상夷商의 모든 행동을 관을 대신하여 감독하며 책임을 지는 것

...

동인도회사 관화인管貨人들의 일관된 요구 중의 하나는 바로 이 보상을 폐지

...

광동무역체제는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무역항의 한정, 부가세의 자의적 부과, 보상을 통한 무역과 행동의 제한 등 영국으로서는 무역신장에 큰 장애였다. 18세기말부터 전쟁에 이르기까지 수차례 파견된 사신들의 목적 중 하나는 광동무역체제의 타파

...

현지의 영국 상인들...새로운 전권대사가 군함을 이끌고 북경에 가서 북방의 여러 항구의 개방과 공행의 독점 폐지를 요구할 것을 연명으로 국왕에게 청원하는 한편, 쟈아딘 등이 본국의 상공업자들에 호소, 그들의 지지를 얻었다.

...

1차 중영전쟁...보다 궁극적 요소는 영국의 상업·제국주의적 팽창에 있었다. 외교·법률상의 분쟁은 이러한 팽창과 봉쇄의 기본적 문제를 나타내는 징후일 뿐이었다. 아편무역은 이 팽창을 촉진하는 부가결한 수단이었다. - 22~27

 

18세기 이래 중국의 영국에 대한 최대의 수출품은 차였다...18세기말 매년 평균 수입액은 400만 량 전후로서 이 한 품목만으로도 당시 영국상인이 중국에 수출한 3대상품(모직물·금속·면화)을 상쇄할 정도였다.

...

영국으로부터 중국이 수입한 품목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모직물이었다. 모직물 제조업은 18세기초 영국의 가장 중요한 공업이었던 만큼 동인도 회사에 수출 의무가 부과되었던 것이고, 따라서 동인도회사의 대중국 무역확대 의도도 모직물 수출에 있었다.

...

중국의 또 하나의 수입품으로서 인도면화가 있다. 인도면화도 1780년대 후반에 비약적으로 수출이 증가하여(전반의 7.3) 광동의 수입상품 중에서 모직물을 누르고 수위를 차지고하고 있었다. - 27~29

 

중국에서 아편흡식의 습관이 생기게 된 것은 17세기초 네덜란드인이 대만에 들여오면서붙인 듯한데, 1729년에 아편흡식에 대한 최초의 금령이 내려진 것을 보면 1세기 안에 흡식 풍조가 널리 퍼졌음을 알 수 있다.

...

1830년대 후반에 전국적인 아편중독자 수는 최소한 200만 정도로 추산되는데 특히 국가로서 우려할 만한 사태는 모든 성의 문무관료, 병사들에게까지 아편흡식 풍조가 만연되고 있었다는 점이었다.

...

빈민층에 아편이 침투한 것은 농촌경제의 파탄을 의미했으며, 구매력의 상실을 가져왔다.

...

더욱이 농민의 부담을 가중시킨 것은 아편수입량이 증가하여 은유출이 커짐에 따른 은귀전천銀貴錢賤 현상이었다...이에 따른 농민의 생활곤궁은 나아가 조세의 미납과 연결되어 재정의 궁핍을 초래하였다. 은전비가銀錢比價가 오르게 됨에 따라 나타난 또다른 중요한 현상은 은으로 염과塩課를 납부해야 되는 염상塩商의 파산이었다. 염과 세입이 줄어듦으로써 국가재정이 더욱 어려워진 것이다.

 

은이 역류逆流되기 시작한 것은 1820년대 후반부터인데 이것은 아편 수입량의 증가와 관련된다...1830년대 전반의 경우 약 천만 량 전후의 액수에 해당한다(1839년의 경우는 25백만 량). 이 액수는 당시 국가의 총수입이 48백여 만 량에 불과했던 점을 고려하면 그 양이 어느 정도인지 짐작할 수 있다. 이리하여 1837~1838년에 이르면 영국은 아편 밀수출액만으로도 중국으로부터의 차 등 전품목의 수입액을 충당하고도 남았다.

......

아편밀매량이 늘게 된 기본적 요인은, 아편의 재배에서부터 제조, 판매에 이르기까지 주관하고 막대한 이익을 남긴 동인도회사, 직접적으로 밀무역에 임해 역시 막대한 이익을 남겨 거부가 된 지방무역상인, 그리고 밀무역을 방임한 청조 관료계의 부패구조에서 함께 찾아야 했다.

...

동인도회사...인도 농민들에게는 자금을 빌려 주면서까지 양귀비의 재배를 유도하고 강요...지방무역 상인들에게는 회사제품[公班土]만 쓴다는 조건으로 허가증을 발급해 주기도 했다. 한편 회사는 아편이 경매에서 무려 원가의 8배나 되는 가격으로 팔려 막대한 이익을 남겼으며-그중 약 405는 인도정부에 아편세로 납부됨-상인들은 다시 여기에 많은 이익을 붙여 중국에서 판매함으로써 많은 이익을 남겼다.

...

인도정부로서도 벵갈주 총 수입의 12% 정도를 아편세에서 얻고 있었기 때문에91827~1828년의 경우) 아편무역의 확대는 바람직했다.

 

한편 아편 판매상은 아편은 금과 같아서 아무리 많아도 언제나 팔 수 있다며 아편무역을 가장 안전하고 신사적인투기상업으로 여겼다. - 30~35

 

임칙서의 아편단속 방침은 치밀하게 추진되었다. 그는 부임 도중에 미리 파악한 주요 아편거래자, 아편굴 소유자, 쾌해선 소유자를 체포하도록 지시했다. 그리하여 임이 도착하기도 전에 광동에서는 총독 등정정을 중심으로 한 단속이 심해지고 있었다. 그 결과 (1838)12월 현재 감옥에는 2천 명 이상이 수감되어 있었는데, 그중에서 매일같이 3~4명이 아편을 못피워 죽었다고 한다.

...

18393월 광주에 도착한 후 임칙서가 취한 조치는 단호했다. 우선 중국인에 대해서는 52일까지 1,600명을 체포하고 아편 28,800근을 압수...318일 임음 외국인에 대해 조치를 취하기 시작...행상을 불러모아 외국인으로 하여금 3일내로 모든 아편을 체출토록...521일까지 약속된 양보다 많은 21,306상자(1,200여톤) 가량이 제출되어 63부터 20여 일간 호문에서 전량 파기되었다.

...

산업자본가들은 중국이 무역의 자유를 침해했으며 사유재산을 몰수했다고 비난하며 정부와 의회에 압력을 가하고, 엘리어트는 본국에 군대파견을 요구함으로써, 영국정부는 10월 원정군 파견을 결정하고 통보했다. 당시 영국정부는 재정난에 처해 있었는데 전쟁을 스이로 이끌면 배상금으로 비용을 충당할 수 있다고 본 것

...

18402월 조지 엘리어트를 전권대표로, 브리머를 사령관으로 하는 원정군을 파견하였다. 의회에서도 4월에 이 전쟁을 승인했는데, 여기에는 자본가집단의 모임인 인중협회(印中協會; India and China Association)의 압력이 작용하고 있었다.

...

1841126일 홍콩을 강점하고 21일에는 영령英領임을 선포

...

청조에서는...혁산과 양방 등을 광동에 파견하여 전쟁에 돌입

...

25만여 청군이 2만이 영국군에 패퇴

...

1차 중영전쟁의 결과는 남경조약과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이듬해 맺어진 중영오구통상장정호문조약’, ‘오구통상부점선후조관’, 그리고 그 이듬해 미국·프랑스와 맺어진 망하조약’, ‘황포조약의 내용을 아울러 살펴야 한다.

...

남경조약에는 수출입관세의 결정은 반드시 영국과 공동으로 상의하도록

...

중국에서의 모든 영국인의 범죄는 그 재판권이 영사에게 있다는 치외법권의 규정(‘오구통상장정’·‘망하조약’)

...

18411월에 강점한 홍콩을 남경조약에서 정식으로 할양받은 것이나 5개항의 개항도 18세기 이래 추구해 온 중국에 대한 진출기반의 확보였으며, 통상항구에 군함을 파견한다거나 순사할 수 있다고 규정함으로써(오구통상장정·망하조약) 외국 병선이 중국 영해에 자유로이 진입할 수 있게 된 것

...

개항장에서 자유로이 전교할 수 있다는 규정(황포조약)도 자유로운 교회 설립 규정(망하조약)과 함께 제국주의 침략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

영국측에서는 남경조약 체결시 아편무역의 합법화를 요구했지만 청조로서는 조약으로 합법성을 명문화할 수 없는 입장이었기 때문에 아편을 소지해도 검사하거나 어떠한 행동도 취하지 않을 것임을 포틴저에게 보증함으로써 아편무역을 공인한 셈 - 37~46

 

 

1차 중영전쟁 이후 광동을 중심으로 전개된 배영운동排英運動은 제2차 중영전쟁의 주요한 요인

...

전쟁이 끝나자 영국의 관원, 상인, 수부들은 정복자로서 행세하여 재물을 약탈하고 여인을 능욕하며, 총을 들고 촌에 들어가 참새를 잡는다면서 닭··돼지·소 등을 보면 잡고, 부인과 아이들을 보면 희롱하며, 이를 막는 자가 있으면 총으로 죽이는 만행을 자행했다. 이에 민중들은 자위투쟁에 나설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

1차 중영전쟁 이후 수년간 중국은 연 1천만원 정도의 은이 유출되었는데, 이것은 더욱 증가된 아편무역 때문

...

아편의 유입량은 1842~1849년에 연평균 39,000상자, 1850~1854년에는 53,500상자, 1855~1859년에는 68,500상자로 늘고 있는데, 1850년대 중반의 경우 연 4,5백만 파운드에서 6,7백만 파운드의 금액에 해당된다. 이는 영국의 공산품 수출액이 1,2백만 파운드에 불과한 것을 보면 정상무역의 5배에 해당되는 액수이다.

 

앞에서 보았던 민중의 항영투쟁도 시장확대의 장애요인이 되었다. 광주입성의 저지도 그러했지만 특히 태평천국이 남경을 장악한 이후에는 양자강 유역의 시장확보에 큰 영향을 받았다.

...

무역확장을 위해서 화물이 깊숙한 내지 촌락에까지 진입할 수 있도록 자유로운 내지여행을 보장받아야 하고, 북쪽의 항구를 개방시킬 필요가 있었다. 영국의 공산품이 팔리지 않는 요인은 우선 중국의 제도적 장애에 있다고 본 것이다.

이에 따라 영국은 어떠한 빌미를 잡아서라도 중국을 조약개정에 나서게 하려 했다.

...

미국과 러시아도...조약개정교섭에는 참가하기로 하였다. 세포이난으로 뒤늦게 홍콩에 도착한 영국군은 프랑스와 함께 (1957)1212일 광주입성, 조약개정 및 손해배상을 내용으로 하는 최후통첩을 섭에 보냈다. 섭이 거부하자 28일 공격을 개시, 이튿날 광주를 점령

...

천진조약은 러시아를 필두로 미국, 영국, 프랑스 순으로 각각 맺어졌는데, 주요내용은 외국공사의 북경주재, 양자강 유역과 북부지역 및 기타지역의 10개 항구 개항, 내지에서의 여행·통상 및 전교의 자유, 영사재판권의 확대, 양자강 및 각 통상항에 군함의 집입권, 그리고 배상금(영국 400만 량, 프랑스 200만 량) 등이었다.

...

상해관세회의 결과 영불과 각각 맺은 통상장정선후조약(해관세칙)은 첫째, 아편무역을 합법무역으로 승인하고 양약(洋藥)‘으로 개명

...

1013일 드디어 북경을 함락하고 북경조약을 맺었다. 여기에서는 천진조약의 유효함을 확인하면서 천진을 개항장으로 추가하고, 화공(華工)의 이민을 허가하며, 일찍이 몰수한 카톨릭교회당을 상황하고 각성의 토지를 임대하거나 구매하여 교회를 건립할 수 있으며, 배상금을 영·불 각각 800만 량으로 증액 - 47~61

 

 

태평천국과 염군捻軍

김성찬

 

건륭 중기 이후 정계와 지방행정의 부패, 가경초에 폭발한 백련교의 발란(1796~1804), 그로 인해 노출된 청조 정규군인 팔기와 녹영병의 무능과 부패를 확인할 수 있고, 향촌사회는 지주, 부상富商, 고리대업자, 관료가 토지를 집적한 결과, 전체 4억 인구의 60~90%는 토지가 없는 전호佃戶였으며 일반 소농민은 전체 가경可耕면적의 겨우 30%를 분점分占하고 있어, 생산액의 50%이상을 지대로 납부해야 하는 전호와 자작농의 몰락은 사회불안의 근원이 되었다. - 80

 

19세기초 이후 아편유입의 격증에 따른 은의 해외유추로 말미암아 은가가 등귀하였으며 따라서 납세수단으로 사용되는 은과 일반시장의 거래수단으로 사용되는 동전의 교환가치가 1:2에서 1:3으로 등귀함으로써 일반농민의 가계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었다. - 81

 

18507월 광서성 각지의 배상제회원들은 자형산 근처 금전촌으로 소집되었다...참가자들은 대부분 객가 출신의 농민, 폭파지식을 갖고 있는 광산노동자, 숯구이 등이 있이었다.

..

2만여의 강력한 무장집단을 형성하게 된 배상제회 지도자들은 필연적으로 신사층과 연계된 청조의 지방군대와 충돌 - 90

 

서구열강의 입장은 기본적으로 중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어떤 상황에서도 기존 이익의 보존과 확대를 성취하려는 것이었으며, 따라서 그들은 아편전쟁 이후 그들이 끊임없이 진출하고자 한 양자강 유역을 장악한 태평천국정권을 청조에 대응하는 또 하나의 실질적 정권으로 인정하고 이에 무장간섭과 진압을 유예한 채 자신들의 기본입장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관철할 수 있는 정권을 선택하기 위하여 이후 전개될 정권의 향배에 대하여 관망하고 또한 양정부에게 상호 연대에의 희망과 위협, 이권요구를 제시하는 이른바 중립정책을 견지하였다. - 125, 126

 

이제 영국외교관들은 점차 태평천국에 대해 비난하기 시작...태평천국이 전국을 석권할 경우 만족스럽진 못한 수준이지만 기존의 행정체계와 교역질서조차 혼란에 빠뜨릴 것으로 유려되었던 것 - 127

 

영국이 청조를 선택하게 된 것은 중국 진출에 방해가 될 만큼 태평천국이 청조보다 강력하거나 배외적이라고 여겼다기보다, 영국의 기득권을 유지 발전시키기에 적절한 체계적인 통치역량을 가졌는지 회의한 결과였으며 또한 청조가 승인한 아편무역을 태평천국이 철저히 금지하리라 여겼기 때문이었다.

외국은 간섭은 영, 불군의 직접 개입보다는 특히 청군에 대한 근대병기와 훈련의 제공, 중국인 용병부대에 외국인 지휘관의 참여를 통해서 이루어졌다. - 129

 

태평천국...몰락의 전조는 이미 태평천국 지도층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체제의 옹호자인 신사층을 수용하지도 격퇴하지도 못한 데서 싹트고 있었다. 태평천국의 혁명이념과 배상제교리를 부각시킴으로써 신사층과 지주 등을 대변, 결집하고 청조를 소생시킨 것은 호남의 상군湘軍을 조직한 증국번(1811~1873)이었다.

...

태평천국은 모든 토지를 천왕의 소유라 몰수하고 이단종교 교리를 끌어들여 공자의 경전과 유교사당, 불교, 도교의 토속신앙을 부정하고 가족질서를 왜곡시켜 만민을 부모 구별없이 형제자매라 함으로써 전통적인 예의, 인륜, 제도를 파괴하였다고 하였다. 이런 반란은 청조에 대한 단순한 정치적 변란의 수준을 넘어서 개벽 이래 중국의 전통인 명교明敎에 대한 기변이라고 규정 - 132

 

증국번은 한정된 향촌범위내에서 향촌보위를 위해 조직된 단련으로는 이제 태평군과 대응할 수 없을 만큼 악화된 것을 알고 있었다. 그는 이들을 규합하여 새로운 성 단위 군대로 확대하고자 하였다. - 133

 

청조 정규군대는 18605월 남경 근처의 강남대영이 붕괴됨으로써 청조정부가 태평천국 진압의 주역을 이 의용군에게 넘겨주지 않으면 안되게 될 때까지 태평군의 활동을 진압하기에는 역부족 - 133

 

 

양무운동의 성격

박혁순

 

1861년 신유정변에 의해 서태후, 공친왕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정권이 성립된 이후, 1894년 청일전쟁까지를 일반적으로 양무운동 시기라 부른다. 이 운동은 태평천국을 비롯한 5,60년대의 여러 민중반란과 제2차 아편전쟁으로 내외의 위기에 직면한 청조가 자강(自强)과 부강(富强)을 표방하며 강력한 군사력과 각종 근대산업의 육성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려는 시도였다. - 164

 

청조의 관료들은 서구의 근대적인 무기의 위력에 주목하고, 포함을 이용하여 태평천국을 공격하려는 의도에서 영국으로부터 군함의 도입을 계획하였고 영국의 권고를 받아들여 군사고문을 초빙하여 군대를 훈련시키려는 계획을 세웠다. - 167

 

강력한 최신 장비로 무장한 군사력의 효능은 구체적으로 국내의 여러 반란세력의 진압에서 증명되었다. 1961년 이후 태평천국과의 전투에서 우위를 차지한 증국번 휘하의 상군이 18647월 태평천국이 수도로 삼고 있던 남경을 점령함으로써 태평천국의 반란을 진압 - 168

 

에 바탕을 둔 유교사회질서를 수호한다는 것이 태평천국 진압과정에서 그들이 내세운 명분이었으며 명교(名敎)’라는 유교적 왕조질서야말로 신사층의 존재의 근거...양무운동에서 이들 지방관료세력은 청조의 지배체제의 재건의 실질적인 초석이었으며 붕괴되는 왕조지배질서를 일시적으로나마 회복할 수 있게 한 주역 - 172

 

태평천국의 진압에 해군의 필요성을 느낀 청조는 은 80만 량으로 영국에서 중형군함 3, 소형군함 4척을 구입하기로 하고 영국에 귀국중이던 총세무사 레이에게 군함의 구입을 위촉 - 176

 

양무운동기간중 건설된 최대의 기업이라 할 수 있는 한양제철소는 천진-통주간의 철도건설문제를 둘러싼 논쟁과정에서 당시 양광총독이었던 장지동이 노구교와 한구를 잇는 노한철도건설을 제안한 데서 비롯되었다. 장지동은 이미 1888(광서 14) 광동에 군수공장을 건설하고 여기에서 필요한 철강재를 공급할 목적으로 제철소를 건설하고자 하였는데, 호광총독에 전임되면서 철도건설에 필요한 레일을 공급할 목적으로 제철소의 건설을 적극적으로 추진...대야의 철광과 탄광을 개발하여 원료 공급의 안정을 도모 - 185, 186

 

양무운동기에 추진된 근대적인 교통, 통신관계의 사업으로서 주목되는 것은 전보국의 설립과 철도의 부설이다. 전신선 가설은 이미 1860년대부터 영국, 러시아 등이 가설을 청조에 요구해 왔던 것인데, 그에 대해 당시의 청조 정부내의 의견은 심지어 이홍장까지도 부정적이었다. 이러한 견해가 변화한 계기는 1874년 일본의 대만침공시 군사적인 측면에서 전신선의 가설 필요성을 절감하면서부터였다...상해와 천진을 잇는 육로전신선이 1881년 가설

...

전신선의 가설은 자체가 청조의 군사적·행정적이 필요성과 합치하는 것이기도 했으나 또한 대외무역의 활성화와 관련 상인들의 요구에도 부합하는 것이었다. 이미 1870년대초에 부설된 런던-상해간의 해저전선과 연결됨으로써 생사, 차 등의 무역에서 효율성을 기할 수 있었다. - 188, 189

 

무기의 제조와 조선에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의 습득을 위해 번역과 교육사업이 추진되었는데 강남제조총국에 부설된 번역관과 복건선정국에 부설된 복건선정학당이 그 대표적인 기관이다. 1867년 설립된 선정학당은 14세 이하의 소년을 학생으로 선발하여, 그들엑 선박의 제조와 운행에 필요한 과학기술을 프랑스인을 고용하여 가르치게 하였다.

...

1880년에 천진에 전보학당이 설립되었고, 같은 해 천진 수사학당과 광주의 실학과 각각 건립되어 선박의 항해기술을 가르쳤다. 1885년에는 천진에 무비학당이 설립되어 군사학을 교육하는 등 각 분야의 전문인력을 양성 - 193, 194

 

 

중화제구질서의 동요

최희재

 

중국인의 뿌리깊은 중화사상과 그 위에 기초한 중화제국의 세계질서는 19세기 중반 서구인의 진출이 본격화되면서 점증하는 도전에 직면하게 된다. 강력한 무력을 앞세운 열강의 압박이 세계의 중심임을 자부해온 중국에게 불평등한 조약을 강요하면서 전통적인 정치질서의 재편을 불가피하게 요구

...

종래 중화제국체제내에서 중요한 조공국으로 위치하고 있던 유구琉球, 월남, 조선 등이 외부의 압박에 의해 차례로 중국의 지배권에서 이탈 - 203~205

 

1880년대에는 월남에 대한 프랑스의 침략활동이 강화되면서 그에 대한 종주권을 고수하려는 청조측과 프랑스의 대립이 심화된다....1840년대 후반부터는 아울러 이 지역에서 천주교의 선교 활동도 보다 적극화되면서 한편으로는 월남인들의 저항이 강화되고, 그에 따라 프랑스측의 정치적인 대응도 본격화된다.

...

1861년에는 월남에서도 선교사박해를 이유로 사이공 등지에서 스페인과 공동작전을 전개하여 18626월에는 월남측과 제1차 사이공 조약을 체결한다. 이 조약으로 프랑스는 코친차이나 동부 3성과 곤륜도를 획득하고, 1867년에는 코친차이나 서부 3성도 실력으로 병합

...

1873년에는 월남당국의 프랑스인 밀수혐의자에 대한 추방요구를 기회로 군대를 동원, 하노이를 포함한 송코이델타지역 일대를 점령하고, 18743월에는 사덕제의 강화요청에 따라 제2차 사이공조약을 체결한다. 이 조약은 코친차이나 6성에 대한 프랑스의 주권을 인정하고, 일체의 외국으로부터 월남이 완전히 독립되어 있음(즉 중국과의 조공관계를 부정)을 전제한 위에서 프랑스가 월남을 사실상 보호령으로 지배함을 규정한 것 - 223, 224

 

188312월부터 송코이 삼각주 일대에서 양측의 1차 충돌이 발생한다. 1214일 프랑스군 5,000명이 수륙 양면으로 손타이성을 공격하여, 청군과 흑기군이 저항하지만 3일 만에 성이 함락되어 흑기군과 운남군은 홍호아로, 광서군은 박닝으로 철수한다. - 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