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겔 - [대논리학](Ⅱ) 본질론 - 1편 자기자체내의 반성으로서의 본질 헤겔 - [대논리학] 본질론 - 1편 자기자체내의 반성으로서의 본질 헤겔, [대논리학](본질론), 벽호, 1997 본질론 존재의 진리는 본질이다. - 17쪽 존재란 직접적인 것이다. 그러나 지(知)가 존재의 즉자대자적인 참모습을 인식하는 데 있어서 결코 직접적인 존재나 그의 제규정에 머무르.. 배움/배움-책 2011.11.11
헤겔 - [대논리학](Ⅰ) 존재론 - 1편 규정성 3장 대자적존재 / 2편 크기, 3편 도량 헤겔 - [대논리학] 존재론 - 1편 규정성 3장 대자적존재 / 2편 크기, 3편 도량 헤겔, [대논리학](존재론), 벽호, 1997 1편 규정성 제3장 대자적 존재 질적인 존재는 대자적 존재 속에서 완성되거니와 이 대자적 존재는 곧 무한적인 존재이다. - 155쪽 대자적 존재도 역시 대자적으로 존재하.. 배움/배움-책 2011.11.10
헤겔 - [대논리학](Ⅰ) 존재론 - 1편 규정성 1장 존재, 2장 현존재 * 원 제목은 Wissenschaft der Logik. 논리(과)학 헤겔 - [대논리학] 존재론 - 1편 규정성 1장 존재, 2장 현존재 헤겔, [대논리학](존재론), 벽호, 1997 서문 학적(學的) 인식(認識) 속에서 스스로 추동(推動)되며 운동하는 것은 오직 내용의 본성일 뿐이며 더 나아가서는 내용이 스스로 행하는 .. 배움/배움-책 2011.11.10
헤겔 - [정신 현상학] : Ⅶ 종교, Ⅷ 절대지 헤겔 - [정신 현상학] : Ⅶ 종교, Ⅷ 절대지 헤겔, <정신현상학2>, 임석진 옮김, 한길사 Ⅶ 종교 대략 ‘의식’ ‘자기의식’ ‘이성’ ‘정신’으로 구분되는 지금까지의 의식 형태에서 절대신의 의식이라고 할 종교가 몇 차례 나타나긴 했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절대신을 의.. 배움/배움-책 2011.11.03
헤겔 - [정신 현상학] : 정신_ Ⅵ 정신 1 참다운 인륜성 헤겔 - [정신 현상학] : 정신_ Ⅵ 정신 1 참다운 인륜성 헤겔, <정신현상학2>, 임석진 옮김, 한길사 Ⅵ 정신 온갖 실재라는 이성의 확신이 진리로 고양되고 이성이 자기 자신을 세계로, 그리고 세계를 자기 자신으로 의식하기에 이르렀을 때, 이성은 곧 정신이다. - 2권18쪽 완전한 .. 배움/배움-책 2011.11.03
헤겔 - [정신 현상학] : 이성 - 이성적인 자기의식의 자기실현, 절대적인 실재성을 획득한 개인 헤겔 - [정신 현상학] : 이성 - Ⅴ 이성의 확신과 진리 - 2. 이성적인 자기의식의 자기실현, 3. 절대적인 실재성을 획득한 개인 헤겔, <정신현상학1>, 임석진 옮김, 한길사 2. 이성적인 자기의식의 자기실현 자기의식은 사물이 자기이고 자기가 사물이라는 것을 알아차리게 되었으.. 배움/배움-책 2011.11.01
헤겔 - [정신 현상학] : 이성 - 관찰하는 이성 헤겔 - [정신 현상학] : 이성 - Ⅴ 이성의 확신과 진리 - 1 관찰하는 이성 헤겔, <정신현상학1>, 임석진 옮김, 한길사 Ⅴ 이성의 확신과 진리 의식은 개별 의식 그 자체가 절대적 존재이다라는 사상을 머금고 자체 내로 복귀한다. - 267쪽 지금까지 의식은 자기의 자립성과 자유에만.. 배움/배움-책 2011.11.01
헤겔 - [정신현상학] : 의식, 자기의식 헤겔, <정신현상학1>, 임석진 옮김, 한길사 의식 Ⅰ 감각적 확신, ‘이념’과 ‘사념’ 감각적 확신이 스스로 알고 있는 대상에 관해서 얘기하는 것이란 ‘그것이 있다’는 것뿐이고 그의 진리에 포함되는 것은 어떤 것, 즉 사상(事象)이나 사태의 존재일 뿐이다. - 134쪽 Ⅱ 지.. 배움/배움-책 2011.10.30
헤겔 - <정신현상학> : 서설 세상에 아름다움이란 것이 있다면 이런 책을 아름답다고 하는 것은 아닐까요. 제 능력으로는 이 책을 죄다 이해할 수 없다는 안타까움이 있지만요. ㅠㅠ 공부나 학문에 관심 있는 분이면 한 번 읽어 보시면 어떨까 싶습니다. 헤겔, <정신현상학1>, 임석진 옮김, 한길사 서설 진.. 배움/배움-책 2011.10.30
이종영 - <헤겔의 정신현상학> 파일첨부 이종영-헤겔의정신현상학.hwp 헤겔의 정신현상학 진보평론 제29호 이종영/성공회대 강사/ 사회학 글은 독자들의 주체성에 따라 언제나 다르게 읽힌다. 하지만 이 사실이 독서의 상대주의적 다원론을 정당화해주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텍스트를 보다 올바르게 읽는 방식이 존재.. 배움/배움-책 2011.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