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 美남부의 흑인교회서 총기난사 최소 9명 사망 美남부의 흑인교회서 총기난사 최소 9명 사망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06181529521&code=970201 미국의 흑인교회에서 총기가 난사돼 최소 9명이 숨졌다고 CNN 방송이 17일 보도했다. 용의자는 20대 백인 남성으로 아직 경찰에 검거되지 않았다. 경찰은 이 남성이 이날 오후 9시.. 지배.착취.폭력/지배.착취.폭력-책과영화 2015.06.18
빌헬름 라이히, <파시즘의 대중심리> (다시읽기) 빌헬름 라이히, <파시즘의 대중심리>, 그린비, 2006 인성의 표면층에서 평범한 인간은 수줍어하고, 예의바르며, 인정이 많고, 책임감이 있고, 양심적이다. ... 잔혹하고, 가학적이며, 음란하고, 욕심과 시기심이 많은, 철두철미하게 충동으로만 구성되어 있는 두 번째 층, 곧 중간 성격층.. 지배.착취.폭력/지배.착취.폭력-책과영화 2015.06.08
요아힘 C. 페스트, <히틀러 평전 2> 요아힘 C. 페스트, <히틀러 평전 2>, 푸른숲, 1998 히틀러는 다시 독일 비행을 시작하였다. 괴벨스가 구상한 지점들은 라디오 방송국을 광범위하게 이용하기 위한 것이었다. ... 히틀러는 방송국이 있는 모든 도시에서 연설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방송중계를 통해서 민중 속으로 .. 지배.착취.폭력/지배.착취.폭력-책과영화 2015.04.29
요아힘 C. 페스트, <히틀러 평전 1> 요아힘 C. 페스트, <히틀러 평전 1>, 푸른숲, 1998 1933년 이후로 점점 더 길다란 줄을 이루어서 베를린으로, 혹은 윗소금산(히틀러의 집)으로 그를 만나러 온 행렬은 대체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그들 중 상당수는 저항감을 가지고, 혹은 비꼬는 심정을 가지고 왔다가 큰 감명을 받고 했다.. 지배.착취.폭력/지배.착취.폭력-책과영화 2015.04.27
테오도르 몸젠, <몸젠의 로마사 1> 테오도르 몸젠, <몸젠의 로마사 1>, 푸른역사, 2013 이 부분에서 다루고자 하는 것은 로마의 역사가 아니라 이탈리아의 역사다. 국가 체계의 형태를 갖추고 난 이후 로마라는 도시 공동체가 이탈리아 반도를, 이후 세계를 지배했다고 할 수 있겠지만, 이는 좀 더 높은 차원의 역사적 관.. 지배.착취.폭력/지배.착취.폭력-책과영화 2015.04.07
허승일 외, <로마 제정사 연구> 허승일 외, <로마 제정사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공화정체에서 프린켑스 정체로의 이행 : 프린켑스 아우구스투스의 권력과 권위의 독점 김덕수 아우구스투스...이미 사임이 간파했듯이 그가 활동한 전반기와 후반기, 즉 삼두정기를 포함하는 내전기와 새로운 질서가 자리잡은.. 지배.착취.폭력/지배.착취.폭력-책과영화 2015.04.01
사이먼 베이커, <처음 읽는 로마의 역사> 사이먼 베이커, <처음 읽는 로마의 역사>, 2008, 웅진 지식하우스 기원전 753년에서 기원전 510년 사이의 로마는 왕정 사회였는데, 마지막 세 왕이 에트루리아인이었다. ... 그들이 남긴 유산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왕에게 부여된 권력이었다. ... 로마인들은 왕이 집행권을 임페리움impe.. 지배.착취.폭력/지배.착취.폭력-책과영화 2015.03.19
세드릭 A.요/프리츠 하이켈하임, <로마사> 로마의 국가와 정치, 권력투쟁과 전쟁 등에 대해 여러가지를 알 수 있도록 도와준 책 ^^ 세드릭 A.요/프리츠 하이켈하임, <로마사>, 현대지성사, 2010 초기의 에트루리아 도시 국가들의 실권은 귀족 족장들의 위원회가 자기들 중에서 선출하고 지지하는 왕의 수중에 있었다. 왕은 국가의.. 지배.착취.폭력/지배.착취.폭력-책과영화 2015.03.10
프리모 레비, <가라앉은 자와 구조된 자> 프리모 레비, <가라앉은 자와 구조된 자>, 돌베개, 2014 나치의 절멸 수용소에 대한 최초의 소식들은 격동의 해인 1942년에 퍼지기 시작했다. ... 대중은 그 소식들이 전하는 엄청남 때문에 그 이야기들을 거부하려 했다. - 9 거의 모든 생환자들이 말로든 글로 남긴 그들의 기억 속에서든 .. 지배.착취.폭력/지배.착취.폭력-책과영화 2015.01.13
디 벨레 Die Welle 크리스마스날 영화나 한 프로 땡길까 싶었습니다. 무슨 영화를 볼까 하는데 문득 <나폴라>라는 영화가 떠오르더라구요. 독일 파시스트들이 교육을 통해 인간을 어떻게 바꾸는지를 잘 보여준 영화였습니다. 그래서 나폴라의 감독 데니스 간젤의 영화를 한 편 더 보자 싶어 <디 벨레&.. 지배.착취.폭력/지배.착취.폭력-책과영화 2014.12.30